반응형
    
    
    
  소개
처음 설치하고 jupyter notebook을 실행하게 되면 윈도우의 경우 C 드라이브가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데
다른 드라이브인 D 또는 E 드라이브에서 작업을 하고 싶다고 한다면
jupyter notebook --generate-config터미널에서 해당 커맨드를 입력하면
jupyter notebook의 설정 파일 경로가 나오게 되는데 그 설정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줍니다

# 원하는 경로 D:/ E:/
c.NotebookApp.notebook_dir = 'D:/'원하는 경로를 값으로 넣어주고 설정파일을 저장하고 jupyter notebook을 다시 실행하면
경로가 변경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반응형
    
    
    
  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WSL] 리눅스 다른 드라이브 경로에 설치방법 (0) | 2022.02.24 | 
|---|---|
| laravel docker에서 mysql db 포트 변경하는 방법 (1) | 2022.01.05 | 
| python jupyter notebook 설치 방법 (0) | 2021.09.15 | 
| sourcetree git 병합한 것을 이전 커밋으로 되돌리기(revert) 하는 방법 (3) | 2021.09.14 | 
| git sourcetree로 master 병합(merge)하는 방법 (1) | 2021.09.14 | 
 
														
													 
														
													 
														
													 
														
													
댓글